Categories 대학입시 및 대학생활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1] 서울대학교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첫번째로 서울대학교 뇌과학 교수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뇌과학 대학원은 뇌과학을 이용해 직업을 얻거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그러나 뇌과학 대학원 진학을 위한 정보가 산재되어 있어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드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여 뇌과학 대학원 입시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를 작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주로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뇌과학 협동과정에 소속되어 계신 교수님들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연구실과 연구 분야, 그리고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의 목적은 뇌인지과학이라는 다학제적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박사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뇌 및 신경계의 기초 원리를 탐구하고 이를 의학적, 공학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교육, 연구시켜 뇌과학 분야의 고급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서울대학교 뇌과학협동과정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는 뇌과학을 연구, 교육 하시지만 여러 과에 산재 되어있는 교수님들을 한 눈에 보기 쉽게 정리하여 대학원 입시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 다른 학교의 교수님/연구실의 연구 분야와 특징이 궁금하다면?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2] 카이스트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3] 성균관대학교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4] 고려대학교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5] 포항공대/DGIST/UNIST/GIST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다른 학교의 뇌과학 관련 학과/전공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고 싶다면?

- 국내 뇌과학 전공 대학교 및 순위, 뇌과학 배우려면 어디로?
뇌과학 대학원

1.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는 그 학과명에 걸맞게 특정 인지기능에 관한 뇌과학적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실이 많습니다. 그렇기에 심리학에 관한 배경지식을 갖고 있는 교수님들이 꽤나 많습니다. 그렇다고 고위인지기능을 가진 인간에 대해서만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크게 인지신경회로, 인지시스템, 그리고 이상뇌인지 연구 파트로 나누어져 인간의 고위인지기능부터 신경회로, 신경세포, 그리고 분자 수준까지 전범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성함연구실
(클릭)
연구실험 모델
이인아학습과기억 연구실기억 및 학습, 해마쥐 (Rat)
곽지현신경계산 연구실기억, 감각쥐 (Mouse)
김기웅치매극복연구센터
(RECODE)
치매인간 (환자)
김의태신경병리약물영상센터
(NPIC)
조현병인간 (환자)
이상아인지발달신경과학 연구실인간의 기억 및 학습인간 (아동 및 노인)
이상훈인지및시스템신경과학 연구실시각, 의사결정인간
이석호세포생리학 연구실전기생리
전현애고등인지신경과학 연구실수학, 언어, 추론 능력인간
최형진대사조절 기능신경해부학 연구실식욕쥐, 영장류, 인간
안우영계산임상 연구실의사결정, 중독인간
차지욱커넥톰 연구실정신질환, 데이터사이언스인간

2. 서울대학교 뇌과학 협동과정

서울대학교 뇌과학 협동과정은 단일 학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학과에 몸 담고 계신 교수님들께서 한데 모여 학위 과정을 운영합니다. 그렇기에 실제 소속 학과는 의과대학, 치의학대학, 생명과학부, 화학부, 심리학과, 컴퓨터공학부 등 광범위하게 걸쳐져 있습니다. 그러나 본 과정으로 진학을 원할 경우 지도교수님과 논의를 통해 교수님들의 원 소속 학과가 아닌 서울대학교 뇌과학 협동과정으로 진학할 수 있습니다.

성함학과연구실
(클릭)
연구
김명환의과대학 생리학교실신경회로-행동 연구실정신질환/이상행동에, 신경세포생리학
오석배치의학대학원 치의과학과통증생체신호 연구실통증, 분자세포기전
이성중치의학대학원 치의과학과신경세포-교세포 네트워크 연구실통증 및 행동, 교세포
이승복치의학대학원 치의과학과신경발생학 실험실시냅스 가소성, 시냅스 퇴행성
이용석의과대학 생리학교실신경생리학 연구실학습-기억 및 사회성, 분자세포기전
김성연자연과학대학 화학부신경회로 연구실소화 및 체온 등 항상성, 신경회로
김형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뇌인지회로 연구실행동 습관, 신경회로
박정환의과대학 생리학교실융합신경생리학 연구실인지적 유연성, 분자-유전-신경회로
신혜영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뇌활동 연구실지각의 신경 기전
장병탁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바이오지능 연구실정보처리기능, 수학적 모델, 컴퓨터 시뮬레이션
최석우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신경생리학 실험실감정 기억, 의식
최세영치의학대학원 치의과학과시냅스네트워크 연구실행동 및 생리학적 현상에 관한 시냅스-신경회로
이수현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기억인지 연구실기억에 관한 인간 해마
최명환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신경광학 연구실최신 광학 도구 개발

3. 서울대학교 의과학과 생리-신경 전공

서울대학교 의과학과 생리-신경 전공은 의과대학에 설립된 만큼 임상적 적용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의과학과가 의과대학에 설립되어 있으나 의학과 외의 전공 출신도 입학을 할 수 있으니 기초신경과학과 임상적 적용 모두에 관심 있으신 분들이 관심있게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성함연구실
(클릭)
연구추가 특징
권오빈대사질환-신경과학 연구실당뇨병, 비만, 대사질환
김명환신경회로 및 행동 연구실스트레스, 선천성 대사이상뇌과학협동과정 겸임
김상정신경생리학 연구실만성통증, 소뇌
묵인희알츠하이머병 병인기전 연구실알츠하이머 치매, 미세교세포
박성준바이오메디컬 및 뇌기계 인터페이스 연구실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서울대학교 디지털헬스케어 전공 소속
박정환융합신경생리학 연구실인지적 유연성 감소뇌과학협동과정 겸임
서영호분자신경기능 연구실신경발달 및 신경퇴행, 시냅스
서인석TRP칼슘채널 실험실TRP 채널
성지혜세포기능센싱 및 제어연구실신규 광유전학 개발
이승재신경질환 실험실퇴행성 뇌질환 (파킨슨, 알츠하이머)
이용석신경생리학 연구실자폐증, 학습 및 기억, 사회성
이철환후성유전학/분자약리학 실험실신경발달, 후성유전학
장성호신경기능 및 바이오이미징 연구실시냅스 및 이에 관한 이미징 기법 개발
최형진대사조절 기능신경해부학 연구실대사조절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소속

마치며

이번 글에서는 크게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뇌과학 협동과정, 의과학과 생리-신경 전공을 중심으로 알아보았습니다. 당연하게도 이외에 뇌과학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시는 교수님들이 많이 있으십니다. 그러므로 이 글에서 자신의 흥미와 맞는 연구실을 찾지 못했더라도 서울대학교에서 뇌과학을 공부하고 싶으시다면 다른 소속의 학과와 전공에서 연구실을 찾아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