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대학입시 및 대학생활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5] 포항공대/DGIST/UNIST/GIST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다섯번째로 포항공대, DGIST, UNIST, 그리고 GIST 뇌과학 교수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뇌과학 대학원은 뇌과학을 이용해 직업을 얻거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그러나 뇌과학 대학원 진학을 위한 정보가 산재되어 있어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드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여 뇌과학 대학원 입시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를 작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기존과는 달리 여러 학교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그 이유는 각 학교에 뇌과학을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이 적거나, 이미 특정 전공에 뇌과학을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이 잘 모여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보통 ‘-IST’ 계통 학교에 관심 있는 분들이 포항공대를 포함해 모든 ‘-IST 대학교’에 대해 찾아보는 걸로 알고 있기에 편의를 돕고자 이렇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 다른 학교의 교수님/연구실의 연구 분야와 특징이 궁금하다면?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1] 서울대학교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2] 카이스트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3] 성균관대학교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4] 고려대학교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다른 학교의 뇌과학 관련 학과/전공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고 싶다면?

- 국내 뇌과학 전공 대학교 및 순위, 뇌과학 배우려면 어디로?
포항공대/DGIST/UNIST/GIST 뇌과학 대학원

1. 포항공대

포항공대에는 뇌과학/신경과학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전공은 따로 없습니다. 대신에 생명과학과다른 학과에 신경과학 관련 주제를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이 있으십니다.

성함학과연구실연구
김정훈생명과학과분자신경과학 연구실약물중독, 정서기억
김종신생명과학과신경면역학 및 뇌신경장벽 연구실뇌혈관장벽
김태경생명과학과신경 후성유전체 연구실감각자극의 후성유전학 조절, 신경발달
박상기생명과학과분자신경의학 연구실신경발달장애
백승태생명과학과신경유전학 연구실교모세포종, 신경발달
김도형IT융합공학과신경통제 연구실뇌-기계 인터페이스, 뇌졸중
김원화컴퓨터공학과의료정보처리 연구실MRI 영상
박성민IT융합공학과혁신의료솔루션 연구실이식형 신경조절 시스템 개발
류일우컴퓨터공학과의료정보처리 연구실MRI 영상, 3D 모양 분석

2. DGIST

대구에 위치한 DIGST에는 뇌과학과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DGIST 뇌과학과의 계신 교수님들 연구에 굉장히 큰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그럼 DGIST 뇌과학과에 소속되어 계신 교수님들과 연구실, 연구 분야, 그리고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뇌 형성과 작용 및 유지의 기본원리를 밝혀내고 다양한 뇌질환의 병리기전을 규명함을 통해 인류의 복지 및 질병 치료 향상에 이바지 합니다."

DGIST 뇌과학과
성함연구실연구
이효상정서신경과학 연구실성상교세포, 스트레스, 통증, 가려움
최한경동물행동과 일주기성리듬 연구실일주기, 사회성
고재원시냅스 다양성 및 특이성 연구실시냅스 분자
김규형신경행동 및 신경회로 연구실행동가소성, 신경발생, 예쁜꼬마선충
김은경뇌대사 연구실뇌시상하부, 대사, 비만
김민환시냅스 및 신경회로동역학 연구실시각과 시냅스
문제일화학감각신경계 연구실후각과 발달, 노화, 인지
백명인운동신경 회로 연구실운동기능
서병창뇌신호 조절 연구실이온 채널
서진수뇌 노화 연구실신경퇴화
오용석분자정신의학 연구실스트레스, 해마
엄지원시냅스 뇌질환 연구실흥분성 억제성 시냅스
유성운신경세포사멸 연구실스트레스, 신경퇴행, 신경면역
이광신경 다이나믹스 연구실도파민, 선조체, 전기생리학
이성배퇴행성 뇌질환과 노화 연구실루게릭병(ALS), 신경발달/퇴행, 초파리
조용철신경축삭 재생 및 퇴행 연구실신경세포골격 재생 기전
현정호구조적 학습 및 신경조절 연구실인지적 유연성

3. UNIST

울산에 위치한 UNIST에는 포항공대에는 뇌과학/신경과학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전공은 따로 없습니다. 대신 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 뇌인지공학을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이 계십니다.

성함학과연구실연구
정동일바이오메디컬공학과의사결정 신경과학 및 인지공학 연구실인간 사회적 의사결정
김성필바이오메디컬공학과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실EEG 분석
최영빈바이오메디컬공학과신경인터페이스 및 반도체광전자 연구실신경인터페이스기술 개발
김정범의과학대학원분자의생명 연구실3D 오가노이드, 신경손상모델
김재익생명과학과신경회로 및 신경퇴행성장애 연구실신경조절물질, 신경퇴행성장애

4. GIST

광주에 위치한 GIST에는 뇌과학/신경과학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전공은 따로 없습니다. 대신 생명과학부의생명공학과에 신경과학을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이 계십니다.

성함학과연구실연구
김태의생명공학과중개 뇌과학 연구실알츠하이머치매 치료, 수면
이보름의생명공학과생체정보 및 신호 연구실EEG, AI 분석
이상준의생명공학과뇌-신체 상호작용 연구실약물중독, 섭식, 갈증
정의헌의생명공학과뉴로포토닉스 연구실광학신경조절, 광학신경신호탐지
김영준생명과학부분자행동신경학 연구실초파리, 수면, 교미행동
박철승생명과학부분자신경생물학 연구실신경계 막단백질, 세레브론
송미령생명과학부신경네트워크 및 전사체 연구실운동신경발생, 신경줄기세포

마치며

포항공대와 ‘IST’ 대학교들에서 뇌과학을 연구하시는 교수님과 연구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포항공대와 ‘IST’에서의 과학/공학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것은 다른 종합대학에서 공부하는 것과 사뭇 다른 분위기가 느껴지는 것이 사실인 것 같습니다. 특히나 서울/경기권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한적한 곳에서 실험과 연구에 집중하는 것을 선호하시는 분이라면 여기서 소개해드린 포항공대와 ‘IST’ 대학교는 최적의 장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