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대학입시 및 대학생활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3] 성균관대학교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세번째로 성균관대학교 뇌과학 교수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뇌과학 대학원은 뇌과학을 이용해 직업을 얻거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그러나 뇌과학 대학원 진학을 위한 정보가 산재되어 있어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드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여 뇌과학 대학원 입시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를 작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주로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 소속되어 계신 교수님들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연구실과 연구 분야, 그리고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MRI 기술 개발이나 MRI를 이용한 뇌과학 연구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더 눈여겨 보시는게 좋습니다.

+ 다른 학교의 교수님/연구실의 연구 분야와 특징이 궁금하다면?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1] 서울대학교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2] 카이스트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4] 고려대학교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뇌과학 대학원 시리즈 5] 포항공대/DGIST/UNIST/GIST 뇌과학 교수진, 연구, 특징에 관하여
+ 다른 학교의 뇌과학 관련 학과/전공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고 싶다면?

- 국내 뇌과학 전공 대학교 및 순위, 뇌과학 배우려면 어디로?
성균관대학교 뇌과학 대학원

1.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성균관대학교는 뇌과학/뇌공학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어보이는 학과/전공명이 없지만 그 대신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 국내에서 매우 유명하신 뇌과학 전공 교수님들이 계십니다. 그 이유는 성균관대학교에 IBS(기초과학연구원)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이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랑 긴밀하게 협업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는 국내 MRI 기술 개발이나 MRI를 이용한 뇌과학적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고 말해도 과하지 않습니다.

성함연구실
(클릭)
연구특징
김형구뉴로RL 연구실강화학습, 의사결정쥐, 영장류 모델
박장현첨단자기공명영상 연구실MRI 기술 개선
박재석의료영상신호 연구실MRI 데이터 처리 기술 개발
박진형소노캐어 연구실초음파 기술 뇌 이미징 및 치료 기법 개발
박한규집적신경보철 연구실신경보철을 이용한 재활 기술 개발
서민아서민아 연구실뉴런-교세포-혈관시스템의 상호작용
손한샘자연지능 연구실복잡하고 지적인 행동 (예: 수학, 추론)영장류 모델
심원목지각인지신경과학 연구실시각-주의-지각-기억-이야기이해-고위인지게임 <마인크래프트> 이용 연구
우충완계산인지정서신경과학 연구실통증, 정서연구실 인스타그램 계정
유승범Y 연구실의사결정
이준열감각운동인지 및 계산 연구실시각-운동 처리과정 중 인지 기능영장류 모델
홍석준계산뇌영상 및 신경망 모델링 연구실전체 뇌 수준의 신경 역동
* 전공을 살펴보며 뇌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교수님과 연구실만 정리함.

2. 성균관대학교 기초의학대학원

다음으로 성균관대학교 기초의학대학원에 소속된 뇌과학을 연구하시는 교수님과 연구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무래도 의과대학 소속이기에 질병과 관련된 뇌과학적 연구 주제가 주를 이룹니다. 신경학적 병리에 대해 관심이 있으며, 나아가 질병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적용에 대해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관심을 갖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성함연구실
(클릭)
연구
권영대스트레스 및 노화 질환 연구실스트레스 과립, 노화
김현진분자신경생리학 연구실이온채널병변 및 치료
박명규도파민뉴런 연구실도파민 뉴런의 모든 것
신주호신경재생 연구실파킨슨병
안지인신경생화학 연구실신경세포사멸
이연종분자신경약리학 연구실파킨슨병
정성권신경병태 연구실알츠하이머병
조하나뇌심혈관질환중개 연구실세포 특이적 세포사멸 기전
주경민암전이 및 줄기세포 연구실뇌종양/신경퇴행성 질환에 관한 줄기세포치료

3. 성균관대학교 그 외 다른 학과

사실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를 제외하고는 뇌과학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학과/전공이 없기는 합니다. 위에 기초의학대학원을 추가적으로 다루긴 하였으나 그 외 다른 학과에서 뇌과학을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을 한눈에 보기 위해 다른 모든 학과를 거의 다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심리학과, 생명과학과, 약학과, 융합생명공학과에 소속된 교수님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성함학과연구실
(클릭)
연구
강민석심리학과시각인지신경과학 연구실작업기억, 일화, 학습-휴식, 길찾기
김민우심리학과정서신경과학 연구실정서의 개인차와 공통성
권재영생명과학과신경유전학 연구실화학신호지각 (초파리)
김진섭생명과학과계산신경과학 연구실AI-계산적 이미지 처리, 소뇌
장춘곤약학과신경약리학 연구실중독약물 및 신종마약, 천연물신경약
조동규약학과분자세포생물학 연구실노화 및 신경퇴행성 질환
윤기정융합생명공학과신경발달 및 줄기세포 연구실뇌 줄기세포, 암

마치며

성균관대학교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를 시작으로 기초의학대학원과 다른 학과들에서 뇌과학을 연구하시는 교수님들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성균관대학교는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에 MRI를 이용한 연구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으시다면 성균관대학교에서 뇌과학 공부하시는 것을 진지하게 고민하셔도 매우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Leave a Comment